명절 음식을 먹고 체증이 있거나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될 때
#체증
#소화불량
#과식
추석 한가위 명절 맛있는 거 많이 드셨나요?
너무 많이 드셔서 소화가 안 되거나 속이 불편하지는 않으신지?
오늘은
명절 이후 속이 불편하고 소화가 안 될 때
소화와 다이어트, 체지방 분해에 도움이 되는 약초와
식단을 관리하는 방법입니다.
건강은
노력하는 만큼 더 건강해집니다.
명절 음식은 |
명절 음식은
고열량의 식품이 대부분이며 육류와 기름에 튀긴 튀김류나
기름을 사용하여 조리하는 음식이 대부분으로 많이 먹게 되면 소화 불량과
속이 불편한 증상이 오래갑니다.
그리고
음식을 푸짐한 명절이라 맛있는 음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
식단 조절을 하지 않으면 과식을 하게 됩니다.
명절 이후 식단 관리와 다이어트 방법 |
명절 때 많이 드셨다면?
속이 불편하고 더부룩하다면?
명절 이후 몸의 변화가 걱정된다면?
식단 조절로 속을 편안하게 하고 정상체중으로 되돌려 보시길 바랍니다.
무리한 다이어트보다는 이렇게 해 보십시오.
▶적게 먹는다.
밥공기의 크기를 줄이고 평소보다 적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.
▶많이 움직이세요.
명절에는 신체적 활동이 줄어들게 됩니다.
그래서 더 소화가 안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. 먹는 것만큼
움직여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다이어트 방법입니다.
▶채소의 섭취를 늘려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하세요.
채소만큼 소하가 잘 되고 속을 편안하게 하는 식품은 없습니다.
▶과일의 당분도 조심하세요.
천연당이라고 안심하면 안 됩니다.
다이어트가 목적이라면 과일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.
▶소화가 잘되는 식품을 드세요.
거칠고 딱딱한 음식.
기름에 튀긴 음식.
맵고 짠 음식.
육류 등의 식품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.
당분간은 소화가 용이한 식품을 드세요.
▶식사 이외의 음식이나 간식은 삼가세요.
삼시 세끼 이외의 식품의 섭취를 삼가세요.
음식은 되도록 눈에 안 띄는 곳에 두시고 손이 닿는 곳에 두시면 안 됩니다.
▶저녁에는 식사 이외에는 드시면 안 됩니다.
밥에 먹는 음식은 건강에 안 좋습니다.
특히나 잠들기 전에는 소화가 다 된 상태가 가장 좋습니다.
저녁은 일찍 먹고 이후에는 음식 섭취를 삼가세요.
▶충분히 쉬세요.
몸도 마음도 편안하게.
명절 스트레스는 날려 버리고 즐거운 일상으로 돌아가세요.
▶잠도 충분히 주무세요.
숙면을 하는 것이 건강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.
잠자는 동안 우리 인체는 건강해집니다.
잠은 보약입니다.
체증을 좋게하고 다이어트에 좋은 약초 |
▶삽주 뿌리
삽주는 장 건강과 기능을 돕는 효과가 있어
체증은 물론 소화불량을 해소해 주는 좋은 한방차입니다.
평소 소화기 기능이 약해 잘 체하고 소화가 안 되는 분들께 강력 추천하는 한방차로
동의보감에서도 위장기능을 좋게 하는 약초로 소개되어 있습니다.
▶산사자 차
산사자는 아가위나무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
장 건강을 좋게 하여 고기를 먹고 체했거나 소화가 안 되고
속이 더부룩한 것을 좋게 하는 효능이 있는 좋은 한방차입니다.
몸속 노폐물을 배출하고 배변 활동을 좋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.
▶연잎차(하엽)
연잎차는 연꽃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
소화기능을 좋게 하여 소화를 돕고 소화불량 개선과 변비 예방은 물론
체지방 분해에도 좋은 효능이 있어 다이어트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.
▶줄풀 차
줄풀 차는 위 기능과 장 건강에 이로운 한방차로
몸속 노폐물 배출과 독소를 정화하는 효능이 있으며,
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
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.
좋은 식습관이 건강이 됩니다. |
오늘 내가 먹고 마시는 것이
곧 건강이 됩니다.
올바른 선택이 행복이 됩니다.
참 간단한 방법인데 실천이 어렵습니다.
그렇지만
소화가 안 되거나 속이 불편하다고 약에 너무 의존하면 안 됩니다.
평소 식습관 조절로 내 몸을 조금씩 젊게 되돌려 보시길 바랍니다.
'건강과 행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근, 갈대뿌리, 노근 효능 (2) | 2022.09.15 |
---|---|
줄풀, 고장풀, 줄풀 효능 (0) | 2022.09.14 |
제피나무, 초피나무, 제피나무 효능 (0) | 2022.09.08 |
당근.당근 효능.눈에 좋은 약초 (0) | 2022.09.06 |
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. 태풍 안전 수칙 (0) | 2022.09.04 |